본문 바로가기
복지정책

2026년 아동수당, 최대 13만원까지 인상! 지급 연령 확대와 지역별 추가지원 내용 한눈에 보기

by 인포와이즈 2025. 11. 6.
반응형

 

🍼 2026년 아동수당, 이렇게 달라집니다

보건복지부는 2026년부터 아동수당 제도를 대폭 개선해 지급 연령 확대지역별 추가 지원을 추진합니다.
그동안 모든 아동에게 동일하게 월 10만 원을 지급했지만, 내년부터는 최대 13만 원까지 받을 수 있게 바뀝니다.

👶 1. 지급 대상 연령 확대 (만 8세 → 만 9세)

  • 현행: 만 8세 미만 (0~95개월)
  • 변경: 만 9세 미만 (0~107개월)

즉, 지금까지 초등학교 2학년 중 일부까지만 받을 수 있었던 아동수당을, 이제는 초등학교 3학년 입학 전까지 받을 수 있게 됩니다.

→ 약 49만 명의 아동이 새롭게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

💰 2. 지역별로 최대 3만 원 가산… “최대 13만 원까지”

기본 월 10만 원은 동일하지만, 내년부터는 거주 지역에 따라 추가금이 붙습니다.

구분 월지급액 비고
수도권 10만 원 변동 없음
비수도권 10만 5천 원 +0.5만 원
인구감소지역 11~12만 원 +1~2만 원
인구감소지역 + 지역상품권 선택 최대 13만 원 추가 +1만 원

👉 인구감소지역에서 지역사랑상품권으로 받으면 월 13만 원까지 가능!

 

🏡 3. 신청 방법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 신청처: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
  • 지급일: 매월 25일 (공휴일이면 앞당겨 지급)
  • 신청대상: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만 9세 미만 아동
  • 지급형태: 현금 원칙 (단, 인구감소지역은 지역상품권 선택 가능)

🧾 4. 부모급여·보육료와의 관계

아동수당은 모든 아동에게 동일하게 지급되는 보편적 제도입니다. 부모급여(0세·1세), 가정양육수당, 보육료 등은 별도의 복지제도이므로 중복 수급 가능 여부는 제도별로 다릅니다.

 

예를 들어, 부모급여와 가정양육수당은 중복 불가하지만 아동수당은 부모급여와 중복 수급이 가능합니다.

📅 5. 시행 시기 및 주의사항

  • 시행 시기: 2026년(국회 예산 확정 후)
  • 확정 기관: 보건복지부
  • 확정 공고: 복지부 및 각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발표 예정

2025년까지는 현재와 동일하게   👉 만 8세 미만, 월 10만 원이 지급됩니다.

📌 6. 요약 정리

구분 2025년 2026년 변경후
지급연령 만 8세 미만 만 9세 미만
기본금 10만 원 10만 원
추가금 없음 비수도권 0.5만 원 / 인구감소지역 최대 3만 원
최대금액 10만 원 13만 원
시행시기 2025년 2026년 예산안 확정 후

🙋‍♀️ FAQ (자주 묻는 질문)

Q1. 우리 지역이 ‘인구감소지역’인지 어디서 확인하나요?
→ 행정안전부가 지정한 인구감소지역 목록을 지자체 홈페이지나 주민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Q2. 기존에 아동수당을 받고 있는데, 따로 신청해야 하나요?
→ 기존 수급자는 자동 연장되지만, 지역상품권 선택 등은 별도 신청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Q3. 부모급여나 보육료와 중복 가능한가요?
→ 가능합니다. 단, 부모급여와 가정양육수당은 중복 불가이므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Q4. 언제부터 실제로 인상된 금액을 받을 수 있나요?
→ 2026년 예산이 국회를 통과한 이후부터 지급됩니다.

🔗 참고자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