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정책

🛢️ 폐식용유, 커피 찌꺼기, 쌀겨도 이제는 '자원'입니다 – 순환자원 제대로 알기

by 인포와이즈 2025. 10. 26.
반응형

 

 

🛢️ 폐식용유, 커피 찌꺼기, 쌀겨도 이제는 '자원'입니다 – 순환자원 제대로 알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가 무심코 버리던 폐식용유, 커피 찌꺼기, 쌀겨가 이제는 **‘순환자원’**으로 지정되었다는 반가운 소식 전해드립니다.


이제는 종량제봉투에 버리는 것이 아니라, 자원으로 분리 배출해야 할 때입니다.

🔄 순환자원이란?

‘순환자원’이란 사람의 건강과 환경에 유해하지 않고, 경제적 가치가 있어 거래가 가능한 폐기물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자원이라는 것이죠.

 

📌 대표적인 순환자원 품목

  • 종이, 고철, 플라스틱, 비닐, 캔, 유리병 등
  • 폐지, 고철, 폐금속 캔, 알루미늄, 구리
  • 전기차 배터리, 폐유리
  • (신규 추가) 폐식용유, 커피 찌꺼기, 왕겨, 쌀겨 ← ⭐

♻️ 버려지던 것들이 자원으로!

지난 7월 20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순환자원 지정 등에 관한 고시’ 개정안을 입법 예고하며 위 3가지 품목을 새롭게 지정했습니다.

 

💬 폐식용유 → 세탁비누, 바이오디젤, 화장품 원료
💬 커피 찌꺼기 → 방향제, 화분 흙, 연료
💬 왕겨·쌀겨 → 퇴비, 사료, 축사 깔개

 

이미 환경단체나 시민들이 이 자원들을 재활용해 왔는데, 이제 정부 차원에서 자원화 체계를 마련한 셈입니다.

🛑 아직도 종량제봉투에 버리시나요?

순환자원으로 지정되었다는 건, 이제 종량제봉투에 담아버리는 것이 금지된다는 뜻입니다.

특히 폐식용유의 경우,
📌 과거엔 이렇게 버렸죠

  • 키친타월/신문지에 흡수 후 쓰레기봉투에
  • 냉동실에 굳혀 버리기
    ➡︎ 번거롭고 비효율적이었습니다.

📌 이제는 이렇게!

  • 주민센터, 공동주택 등에 설치된 ‘폐식용유 분리수거함’에 배출
  • 플라스틱병 등에 담아서 투입
    → 훨씬 간단하고, 자원으로 활용 가능!

지역별 폐식용유 분리수거함

📍 서울 도심 속 분리수거함 사례

🟡 서울 성동구 소월아트홀 앞

  • 노란색 폐식용유 수거함이 눈에 띄는 위치
  • 놀이터 옆, 누구나 쉽게 발견 가능

🟡 서울 광진구 능동주민센터

  • 주택가 중심이라 사람들이 직접 수거함까지 가져와 배출
  • 수거된 폐식용유는 주민센터를 통해 필요한 업체로 전달

💡 노란 수거함 = 폐식용유 수거함
한 번 보면 잊지 않게 색상이 잘 디자인돼 있습니다.

🌱 왜 순환자원이 중요한가요?

폐식용유는 단순한 기름 찌꺼기가 아닙니다. 이제는 **석유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연료 SAF(지속가능항공유)**의 원료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바이오디젤
🚀 산업용 윤활유
🚀 화장품 원료
🚀 SAF(항공유)

 

이처럼 폐기물이 곧 자원이 되는 시대, 이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분리배출 원칙을 지키는 것입니다.

✅ 올바른 분리배출을 위한 팁

1️⃣ 비우고
2️⃣ 헹구고
3️⃣ 분리하고
4️⃣ 섞지 말기

예:

  • 커피 찌꺼기 → 종이 필터 제거 후 별도 배출
  • 식용유 → 병에 담아 투입, 이물질 섞이지 않도록

📣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순환자원 정책

앞으로 순환자원으로 지정되는 품목은 계속 늘어날 예정입니다. 이는 곧 종량제 쓰레기의 양을 줄이고, 탄소배출을 줄이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마무리하며…

자원이 부족한 대한민국. 이제는 버리는 것보다, 다시 쓰는 방법을 고민할 때입니다. 폐식용유, 커피 찌꺼기, 쌀겨…집에 쌓여 있다면 지금 당장 확인해보세요.

 

📍 우리 동네 분리수거함 위치는?
관할 주민센터에 문의하면 확인할 수 있어요!

 

✔ 이 글이 유익하셨다면, 공감(♥)과 댓글, 구독으로 응원해주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