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복지정책245 우리아이 안심 의료기관 야간이나 휴일에 아이가 아플 때 걱정 끝 '우리 아이 안심 의료기관'을 운영합니다. 아픈 아이를 데리고 병원을 찾아 헤매지 않도록 서울시가 '우리 아이 안심의료기관'을 운영하여 엄마아빠의 걱정을 끝내도록 하겠습니다. 동네의원 - 병원 - 전문응급센터의 연계를 강화하고 우리 아이 야간상담센터를 통해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안내합니다. '우리 아이 안심의료기관'이란? ◎우리 아이 안심의원(1차) ◎우리 아이 안심병원(2차) 7월 운영예정 ◎우리 아이 전문응급센터(3차) ◎우리 아이 야간상담센터(4차) 7월 운영예정 단계별로 빈틈없는 소아진료를 위해 '우리 아이 안심의료기관' 이렇게 운영합니다. ◎우리 아이 야간 상담센터(운영예정) - 매일 21~24시 상담운영 - 중증도를 분류해 적절한 신속조치가 가능하도.. 2023. 5. 28. 유기견 입양시 동물 보험 가입비 무료 지원 서울시는 유기동물 입양 시 동물보험 무료 가입 및 1년간 각종 보험 혜택을 지원합니다. 서울시는 유기동물을 품은 반려인에게 도움이 되고자 '유기동물 안심보험 지원' 사업을 추진합니다. '유기동물 안심보험 지원'은 유기동물을 입양한 반려인에게 동물보험 무료가입을 제공하고 1년간 보험 혜택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질병치료비, 상해치료비, 피부병, 구강질환을 포함 타인이나, 타인 소유의 반려동물에게 입힌 손해에 대한 배상책임을 보장해 줍니다. 유기동물안심보험보장내용 보장담보 세부항목 보상한도 총보상한도 자기부담금 보상비율 상해및 질병치료비 (피부병 및 구강질환 확장담보포함) 통원치료비 1일단 15만원 1,000만원 1일당 3만원 60 % 입원치료비 1일당15만원 1일당 3만원 수술치료비 1일당 150만원 연간.. 2023. 5. 26. 반려견 관리 의무 강화 서울시는 동물보호법 개정에 따라 반려견주의 관리 의무가 강화됨을 알리고 준수사항을 집중 홍보 합니다. 서울시는 개정된 동물보호법의 본격시행에 따라 강화된 펫티켓 및 반려견주의 준수사항을 집중 홍보 및 지도 점검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이동장치에는 잠금장치가 꼭 있어야 하고 반려견이 보호자 없이 기르는 곳에서 벗어나지 않게 해야 합니다. 맹견의 경우, 어린이공원, 어린이놀이시설 등에 출입이 금지됩니다. 사람과 동물 모두가 안전하고 행복한 일산을 위해 반려견과 외출할 땐 펫티켓을 꼭 지켜야 합니다. 반려견주가 지켜야 할 준수사항 1. 동물등록입니다. 동물등록은 가까운 동물병원 등 등록대행기간에서 할 수 있으며 시에서 지원하는 내장형 동물등록 사업을 통해 1만 원에 등록이 가능합니다. 이미 등록을 했더라도 동물.. 2023. 5. 26. 아기와 편하게 외출-서울 엄마 아빠 택시 서울시는 짐이 많은 24개월 이하 영아가 편안하게 외출하기 쉽도록 '서울엄마아빠택시' 를 운영합니다. 아기를 위해 준비된 택시 - '서울엄마아빠택시' 아이와 외출 시 기저귀, 분유등 짐이 많아 집을 나서기 전부터 엄두가 안 난다는 영아부모들을 위해 마음을 가볍게 해 드리고자 '서울엄마아빠택시' 운행을 시작합니다. '서울엄마아빠택시'는 24개월 이하 영아 전용 택시로, 카시트와 공기청정기 등을 갖춰 안전한 환경을 마련했습니다. 서울시는 24개월 이하 영아에게 1인당 10만 원의 택시 이용권을 지원하고 올해 16개 자치구에서 시범 운영 후 내년에는 서울전역으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신청기간 및 이용방법 등 자세한 내용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서울시는 24개월 이하 영아 양육가정의 외출을 조금 더 편안하게 해 .. 2023. 5. 23. 2023년 희망두배 청년통장 / 꿈나래통장 '희망두배 청년통장'이란? 근로 청년이 구체적인 미래계획을 수립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참여자가 2년 또는 3년간 매월 10만 원 또는 15만 원을 저축하면 동일한 금액을 서울시 예산 및 시민의 후원금으로 적립 · 지원하는 통장입니다. 서울시가 일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희망두배 청년통장' 신규참여자를 모집합니다. 지원내용 구분 금액 비고 본인저축액 10만원 15만원 본인선택 매칭지원액 10만원 15만원 - 총적립금 2년 480만원 720만원 저축기간 본인선택, 매월 적립한 경우, 이자별도 3년 720만원 1,080만원 신청기간 : 6월 12일 (월) ~ 6월 23일 (금) 9:00 ~ 18 : 00 신청장소 : 주소지 동주민센터 모집인원 : 총 10,000명 신청자격 : 아래 1-5호 자격요건에 모두 해당.. 2023. 5. 22. 어르신 복지 어르신복지란 행복한 노년을 위해 어르신들이 건강하고 편안한 노후를 위해 서울시가 지원하는 복지 계획입니다. 65세 이상 어르신 인구 150만 시대, 2026년 서울 노인 인구 비율이 20%가 넘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즉 3명 중 1명이 어르신 인구로 분류되고 있는 것입니다. 이제 어르신들에 대한 관심을 좀 더 두어야 할 때가 되었음을 느끼고 우리 세대의 의무가 되었습니다. 이에 서울시는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은퇴하기 시작한 베이비부머를 위한 '서울이 50 플러스 재단 및 센터(구, 인생이모작지원센터)를 만드는 등 현재 서울이 직면한 실정에 부합하고, 매년 5~6만 명씩 어르신 인구에 유입 중인 신노년층 인구까지 아우르는 어르신대책을 마련했습니다. 특히 시는 기존의 지역자원.. 2023. 5. 22. 이전 1 ··· 35 36 37 38 39 40 4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