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복지정책245

수해 피해 가계 · 중소기업을 위한 금융지원방안 수해 피해 가계 · 중소기업을 위한 금융지원방안발표 정부는 7월 11일부터 시작된 정극적인 집중호우가 수도권과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확대됨에 따라 7월 13일 중대본 3단계로 격상하고 위기경보 수준을 최고 수준인 심각 단계로 상향 발령하였습니다. 이에 금융위원회는 전 금융권으로 구성된 피해지원 금융삼담센터를 설치하고 피해지원을 위한 다양한 금융지원 방안들을 신속히 마련하였습니다. 수해 피해 가계에는 ①긴급생활안정자금 지원, ②기존대출 만기연장, 상환유예 지원 ③보험료 납입유예 및 보험금* 신속지급 ④카드결제대금 청구유예 연체채무에 대한 특별 채무조정 등의 지원이 이루어집니다. *차량 농경지 축사 침수 등에 따른 피해고객의 보험료 청구 시, 보험금 심사 및 지급의 우선순위를 상향조정하고 보험금을 신속하게 지.. 2023. 7. 19.
내집마련 디딤돌 대출 내 집마련 디딤돌 대출 저소득, 무주택자에 대해 주택 구입자금 대출이자율을 추가 감면하여 주택 마련 부담을 완화하고 내 집 마련 지원을 통해 주거생활의 안정을 도모 신청기간 -접수기관 별 상이 전화문의 -국토교통부 (1599-0001), 주택도시보증공사 (1566-9009), 한국주택금융공사 (1688-8114), 우리은행 (1599-0800), 국민은행 (1599-1771), 기업은행 (1566-2566), 농협은행 (1588-2100), 신한은행 (1599-8000) 신청방법 -한국주택금융공사 및 기금 e 든든 웹사이트 신청 또는 수탁은행(우리, 국민, 기업, 농협, 신한) 방문 신청 접수기관 -국토교통부,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도시기금 수탁은행 지원형태 -현금 지원대상 ○ 연소득(.. 2023. 7. 18.
7월 호우 피해 지역 응급복구를 위한 재정 지원 7월 호우 피해 지역 응급복구를 위한 재정 지원 - 충북‧충남‧경북 등 11개 피해 지자체 재난안전특교세 106억 5천만 원 긴급 지원 □ 행정안전부는 계속되고 있는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지역에 재난안전특별교부세 106억 5천만 원을 긴급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 이번 지원은 호우로 인한 도로 사면 등 비탈면 토사 유실, 도로 파손, 하천 범람 등 피해를 입은 충북, 충남, 경북 등을 비롯하여 11개 지자체*의 신속한 응급 복구를 위해 결정하였습니다. * 부산, 대전,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 피해 시설의 잔해물 처리, 긴급 안전조치 등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응급 복구와 이재민 구호를 위하여 사용됩니다. □ 한창섭 차관은 “피해 지역 주민의 안전 확보와 .. 2023. 7. 18.
[모집공고] 23년 미래 청년 일자리 사업 2차 참여자 모집 서울특별시 공고 제2023-2076호 □ 신청기간 - 2023. 7. 18(화) ~ 8. 4(금) / 18:00까지 □ 신청방법 - 청년 몽땅 정보통 홈페이지 접수 (추후 접속페이지 오픈 예정) □ 신청자격 - 만 19세~39세 서울 거주 미취업 청년(1984.1.1.~2003.12.31. 출생 기준) □ 기업세부내용 (*Chrome, Microsoft Edge 이용해 접속 권장) 온라인콘텐츠 : https://www.seouloncon.or.kr 제로웨이스트 : https://2023 zerowaste.oopy.io/ 소셜벤처 : https://se-youth.imweb.me/ □ 근무여건 - 집중교육기간 : 23. 8. 28(월) ~ 9. 1(금) (예정) - 근무기간 : 2023. 9. 4(월) ~.. 2023. 7. 17.
출산전후(유산ㆍ사산)휴가급여 출산전후(유산・사산) 휴가 기간에 대해 급여를 지급함으로써, 여성근로자의 모성보호 및 출산으로 인한 경력단절 예방을 위한 정부 지원사업입니다. 신청기간 휴가를 시작한 날[출산전후휴가 또는 유산ㆍ사산휴가를 받은 피보험자가 속한 사업장이 우선지원 대상기업이 아닌 경우에는 휴가 시작 후 60일(한 번에 둘 이상의 자녀를 임신한 경우에는 75일)이 지난날로 본다] 이후 1개월부터 휴가가 끝난 날 이후 12개월 이내에 신청 전화문의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1350) 신청방법 가까운 관할 고용센터를 방문하거나 온라인(고용보험 홈페이지 : www.ei.go.kr), 우편으로 신청 접수기관 고용노동부 각 지역 관할 고용센터 지원형태 현금 지원대상 ㅇ근로기준법에 따른 출산전후(유산ㆍ사산) 휴가를 부여받은 근로자 ㅇ 피.. 2023. 7. 16.
2023 월세 환급 제도 지원 대상 신청 방법 및 환급신청 바로가기 2023 월세환급제도 알아보기 작년부터 월세 세액공제율을 15%로 상향조정해 연간소득 7천만 원 이하인 무주택자라면 누구나 환급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인당 최대 112만 5천 원까지 환급해 주는 월세 환급제도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참고로 최대 5년 전 월세에 대해 소급적용도 가능하니 아래에서 알려드리는 월세 세액공제 대상 및 소득공제율, 신청방법 자세히 확인해 보겠습니다. 월세 환급제도란? 1년 동안 지불한 월세의 최대 15%를 공제받아 환급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연 소득이 5천만 원 직장인이 월세로 매월 40만 원 지출하고 1년 동안 총 480만 원의 월세 비용이 발생되는데요. 이 부분에 대한 세금 공제를 받아 환급받게 되는 것입니다. 신청대상 ● 본인 명의 무주택 세대.. 2023. 7.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