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복지정책245 2월부터 달라지는 정부정책 6가지 2월부터 달라지는 정부정책 6가지에 대해 알아보아요. 1.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받아요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에서 업무 볼 때 실물 주민등록증을 챙기지 않아 두 번 고생한 경험, 다들 있으실 겁니다. 올해 1분기부터 17세 이상 국민이라면 누구나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실물 주민등록증을 들고 다닐 필요 없이 휴대전화에 저장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다세대 연립주택 화재 안전 강화돼요다세대 연립주택은 보통 소화시설이 설치돼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불이 나면 피해가 클 수밖에 없습니다. 이제는 소화기, 단독경보형 감지기(연동형), 주택전용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유도등, 완강기(3층이상) 등을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변경됐습니다. 2024년 12월 이후 신축 증축 용도변경하는 경.. 2025. 2. 19. 전국 최초 임신·출산 휴업 소상공인 지원 최대 50만원까지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소상공인이 임신·출산으로 휴업한 경우, 임대료 등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휴업손실비 보상’을 지원합니다. 임신·출산시 입원 등으로 가게 문을 닫은 기간만큼 최대 50만 원까지 보상하는 방식으로, 서울시 소상공인이라면 누구나 대상입니다. 신청은 17일부터 접수합니다. 서울시와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은 아이를 낳아 키우려고 결심한 소상공인을 위해 임신·출산으로 인한 휴업 기간 중 발생한 임대료, 공과금 등 각종 고정비를 지원하는 ‘휴업손실비용보상보험 지원사업’을 17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합니다. 이 사업은 서울시와 KB금융그룹, 한국경제인협회가 공동 추진하는 소상공인을 위한 ‘맞춤형 출산·양육 3종 세트’의 하나입니다. 이는 저출생 대책인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출산·육아.. 2025. 2. 19. 설 연휴 때 문여는 병원 어디? 서울시는 의료 파업 장기화와 인플루엔자 유행, 명절 기간 응급실 내원환자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설 연휴(1.25.~2.2.)를 ‘비상진료기간’으로 지정해 비상의료체계를 강화합니다. e-gen 바로가기 문 여는 병의원과 약국 4만 3천여 곳을 운영하고, 보건소와 시립병원은 비상진료반을 운영합니다. 인플루엔자 환자를 위한 발열클리닉도 운영해 신속한 진료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응급환자 위한 응급의료체계 24시간 운영 우선, 긴급한 환자를 위한 응급의료체계는 설 연휴에도 평소와 같이 24시간 운영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등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31개소, 서울시 서남병원 등 지역응급의료기관 18개소, 응급실 운영병원 21개소 등 총 70개소가 상시 운영됩니다. 서울시 25개 보건소와 7개 시립병원은 설 .. 2025. 1. 25. 2025년 설 명절 민생회복지원금 안내( 1인당 50만원 지급) 2025년 설 명절을 맞아 정부와 지자체는 국민의 경제적부담을 덜기 위해 취약계층과 소상공인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민생회복지원금은 국민생활안정과 경제회복을 위한 정책입니다. 정부는 민생회복지원금을 통해 국민들이 설명저을 따듯하고 풍성하게 보낼수 있도록 돕고 지역상권의 활력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민생회복지원금바로가기 지원대상주로 중위소득 100%이하의 가구와 저소득층, 소상공인입니다.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게층,한부모가정등입니다. 일부지역에서는 지역화페나 지역상품권 형태로 지급하고 지원대상은 각 지자체 재정에 따라 바뀔수도 있습니다. 지원금액각 지방자치단체가 파격적인 민생회복지원금 지급을 잇달아 발표중입니다. 특히 전남 영광군은 연간1인당 100만원을 지급하기로 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2025. 1. 20. 서울 일자리포털에 대해 알아보고 구직 신청 바로하기 일자리포털은 각 지자체 또는 국가에서 운영하는 구직 정보 제공 사이트로, 해당 지역에서 얻을 수 있는 일자리를 안내해주는 포털사이트를 의미합니다. 서울일자리포털 예를 들어, 대구광역시에서 운영하는 대구일자리포털(https://job.daegu.go.kr)에서는 대구 지역 내 기업들의 구인 정보와 구직자들의 이력서 등록 및 취업 관련 교육 정보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특별시에서 운영하는 서울일자리포털(https://job.seoul.go.kr)에서는 서울시의 일자리 제공 사이트로서 채용정보와 공공일자리 통합검색, 취업교육정보, 서울형 뉴딜일자리, 서울시 일자리카페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각 일자리포털에서는 회원가입 후 이력서 등록, 취업 상담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일자.. 2025. 1. 17. 자동차세 절감하는 방법(1월에 한꺼번에 내기) 서울시가 자동차세를 절감할 수 있는 ‘연세액 신고납부’를 신청받습니다. ‘1월’에 연세액을 한꺼번에 신고납부하면 신고납부기한 후 기간인 11개월분(2월~12월)의 5%를 절감할 수 있어 연중 가장 큰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서울ETAX바로가기 시는 지난 13일 ‘2025년도 1월 자동차세 연세액 신고납부서’를 일제 발송했고., 13일부터 서울시 ETAX 또는 STAX(모바일앱) 등을 통해 31일까지 신고납부하면 됩니다. 자동차세는 ‘지방세법’에 따라 제1기분(6월)과 제2기분(12월)으로 나누어 부과되나, 자동차 소유자가 신청하는 경우에는 1월 중 연세액을 한꺼번에 납부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신고납부서 발송 대상은 서울시 등록 자동차(건설기계 포함) 324만 대 중 121만 대(37.3%), .. 2025. 1. 15.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4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