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27,000원 아끼는 알뜰교통카드안내
대중교통비를 한 달 최대 27,000원 아낄 수 있는 알뜰 교통카드 제도를 알려드립니다.
다음 달인 7월 1일부터는 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는 횟수가 월 44회에서 월 60회로 늘어납니다.
받을 수 있는 최대 적립금이 많아지는 겁니다.
알뜰 교통카드란?
사람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하도록 장려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를 마일리지로 적집해주는 제도입니다.
카드사의 추가 할인 혜택까지 받는다면 대중교통비를 최대 30%까지 절약할 수 있습니다.
마일리지 적립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가 800m 미만이면 마일리지를 적립해 줍니다.
800m 이상이면 교통비로 얼마 냈는지에 따라 받을 수 있는 마일리지가 달라집니다.
2023년부터는 저소득층과 청년층 (만 19-34세)의 마일리지 최대 적립금액이 늘어났습니다.
구간 | 기본마일리지 | 저소득층 | 청년층 |
2,000원 미만 | 최대250원 | 최대700원 | 최대 350원 |
2,000원이상 3,000원미만 |
최대 350원 | 최대900원 | 최대500원 |
3,000원이상최대250원 | 최대 450원 | 최대1,100원 | 최대650원 |
카드사 추가 할인
카드사마다 추가 혜택이 다른데요 실적을 충족했을 때 청구 금액의 10%~29%을 할인해 주거나 3,000원을 돌려줍니다.
자세한 혜택은 각 카드사에서 확인이 필요합니다.
예)
출발 장소 →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 600m(마일리지 250원 적립) → 대중교통 1500원의 10% 할인 (150원 할인) →걷거나 자전거이동 200m →도착 장소 =총 400원 절약
알아둘 점
1. 모인 마일리지는 한 달에 한번, 정해진 날짜에 지급됩니다.
2. 한 달에 알뜰 교통카드를 15번 미만으로 사용했다면 마일리지는 이월되지 않고 사라집니다.
3. 마일리지는 최대 60회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60회를 모두사용하고 최대 마일리지 450원을 받는다면 27,000원을 아낄 수 있습니다.
(올해부터는 확대된 혜택에 따라 청년이라면 최대 39,000원을 , 저소득층이라면 최대 66,000원의 요금을 아낄 수 있습니다.)
4. 미세먼지 저감조치가 발령된 날에는 마일리지를 2배로 적립해 줍니다.
사용방법안내
1. 알뜰교통카드를 신청합니다
우리 카드, 신한카드, 하나카드, 티머니페이 알뜰 교통카드나 모바일캐시비, 원패스 선불형 교통카드를 신청합니다.
2. 알뜰 교통카드 앱을 다운로드합니다.
만 19세 이상만 회원가입할 수 있고 자신의 명의로 된 휴대폰으로 본인인증을 해야 합니다.
3. 알뜰교통카드앱에 가입합니다.
회원가입은 카드를 받은 후에 할 수 있습니다.
4. 앱을 이용해 내가 걷거나 자전거 탄 거리를 측정합니다.
출발지에서 출발 버튼을 클릭하고 알뜰교통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한 후, 도착지에서 도착 버튼을 부르면 대중교통 이용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한 뒤 마일리지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복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상공인 사업재기 및 폐업 지원사업 (0) | 2023.07.02 |
---|---|
2023 성북구 미취업청년 (84-04년) 시험응시료 지원 (0) | 2023.06.30 |
7월부터 지하철 10분 안에 다시 타면 무료…유의 사항은? (0) | 2023.06.28 |
오늘부터 만 나이 시작 - 만나이계산기 (0) | 2023.06.28 |
민간 키즈 카페 서울형 인증제 도입 (0) | 2023.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