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기본소득이란?
“경기도에 살고 있는 만 24세 청년에게 분기별 25만 원씩,1년에 총 100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하는 제도”예요. 이 제도는 청년의 사회적 기본권 보장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경기도에서 직접 시행하고 있습니다.
👉 쉽게 말해, 경기도 24세 청년이라면 1년에 100만 원 받을 수 있는 지원금!
✅ 누가 받을 수 있나요?
구분 내용
| 나이 | 만 24세 (예: 2000년생 기준) |
| 거주조건 | 경기도 거주 3년 이상 계속, 또는 합산 10년 이상 |
| 지급방식 | 지역화폐 (카드형 또는 모바일형) |
| 금액 | 분기별 25만 원 × 연 최대 100만 원 |
💡 TIP: 거주기간을 충족하지 못하면 탈락될 수 있으니, 주민등록 초본으로 미리 확인해 두세요!
💳 언제, 어떻게 신청하나요?
신청은 분기별로 진행되며,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가능합니다. (경기도 ‘잡아바’ 또는 ‘경기도 청년포털’에서 신청)
신청절차 한눈에 보기
1️⃣ 경기도 청년포털 접속
2️⃣ 본인 인증 후 신청서 작성
3️⃣ 주민등록 초본 등 서류 제출
4️⃣ 심사 후 대상자 확정
5️⃣ 지역화폐 지급 🎉
📌 중요: 사용기한이 있으니 지급 후 바로 사용하는 게 좋아요! 미사용분은 소멸될 수 있습니다.
📅 2025년 청년기본소득 지급일정 (예시)
분기 신청기간 지급시기
| 1분기 | 3월 1일 ~ 3월 31일 | 4월 20일 |
| 2분기 | 5월 1일 ~ 5월 30일 | 6월 20일 |
| 3분기 | 7월 1일 ~ 8월 11일 | 9월 10일 |
| 4분기 | 10월 15일 ~ 11월 24일 | 12월 20일 |
🔔 실제 일정은 경기도청 공식 홈페이지 또는 청년포털에서 꼭 확인하세요.
🏪 어디서 쓸 수 있나요?
- 경기도 내 지역화폐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
- 대형마트, 온라인쇼핑몰, 유흥업소 등은 사용 불가
- 사용기한은 지급일로부터 약 3개월~6개월
💡 예시:
편의점, 음식점, 카페, 미용실, 병원 등 대부분의 지역 상점에서 사용 가능!
❗ 꼭 알아두세요
- 거주지 변경 시 지급 대상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분기마다 신청해야 하므로 자동지급이 아닙니다.
- 사용하지 않은 금액은 환불되지 않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나이가 24세가 아니면 받을 수 없나요?
→ 네. 2025년 기준 ‘2000년생 청년’이 대상입니다.
Q2. 언제 신청할 수 있나요?
→ 분기마다 한 번씩 신청기간이 열립니다. 보통 3월, 5월, 7월, 10월에 진행됩니다.
Q3. 현금으로 받을 수 있나요?
→ 아니요. 반드시 지역화폐로 지급됩니다.
Q4. 사용처 제한이 있나요?
→ 네.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몰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Q5. 전국에서도 받을 수 있나요?
→ 아니요. 현재는 경기도 한정 제도입니다.
🧡 마무리
청년기본소득은 단순한 ‘지원금’이 아니라, 청년의 자립을 응원하는 정책이에요.
혹시 “나도 받을 수 있을까?” 싶다면,
👉 지금 바로 경기도 청년포털에서 확인해 보세요!
'지역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 용인 화담숲 단풍 예약 완벽 가이드: 시간, 모노레일, 꿀팁 총정리 (SEO 최적화) (1) | 2025.09.19 |
|---|---|
| '서울창포원'…한적해서 더 좋아요~~~ 단풍놀이!! (0) | 2023.10.31 |
| 요즘 가을 뭐봄? 秋향저격 '서울 단풍길 99선' (0) | 2023.10.24 |
| 제 7회 성북문화바캉스 개최 (0) | 2023.07.26 |
| 기회소득 첫 수령자 만난 김동연 지사 “경기도를 문화의 道로 만들 것” (0) | 2023.07.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