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지하공간 침수대비 행동요령 총정리
비가 많이 오거나 집중호우가 예보될 때, **지하공간(지하주택·지하상가·지하주차장 등)**은 침수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침수는 빠르게 진행되며, 대비가 부족하면 인명과 재산 피해가 클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행동요령을 익혀두는 것이 필수입니다.
다음은 행정안전부 및 국민재난안전포털에서 제공하는 공식 지침을 기준으로 한 지하공간 침수 시 행동요령 정리본입니다.
✅ 목차
- 침수 위기 전 사전 대비
- 침수 발생 시 즉시 행동요령
- 차량 침수 시 대응
- 대피 불가능 시 생존 전략
- 침수 후 복귀 시 주의사항
1. 침수 위기 전 사전 대비
- 기상 예보 주시
ㆍ 집중호우 예보나 호우 경보/주의보가 발표되면 주변 상황을 수시로 확인합니다.
ㆍ 침수 빈발 지역이나 저지대, 지하는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 지하공간 시설 점검 및 대비 자재 확보
ㆍ 모래주머니, 물막이 판, 양수기 등을 지하 출입구 주변에 미리 비치해두고
설치자 및 설치 절차를 배치해 둡니다.
ㆍ 지하공간 비상구의 위치, 대피 경로를 미리 숙지해 둡니다.
ㆍ 방범창, 창문, 문 등에 절단 공구(예: 절단기 등)를 미리 준비해 둡니다. - 관리자 역할과 안내체계 구축
ㆍ 공동주택이나 상가 관리자는 물막이 판 설치 책임자를 지정하고,
침수 대응 매뉴얼을 미리 공유해 둡니다.
ㆍ 주민·이용자들에게 비상 연락망을 안내하고, 침수 위험 시 외출 자제를 권고할 수 있게 합니다.
2. 침수 발생 시 즉시 행동요령
🏠 지하주택 / 반지하 / 지하상가 일 경우
- 물이 조금이라도 유입되면 즉시 대피를 시작해야 합니다.
- 문이나 창이 닫혀 있다면 먼저 개방을 시도하고, 외부 수심이 높으면 전기 차단 후 여러 명이 힘을 합쳐 탈출을 시도해야 합니다.
- 미끄러운 바닥과 어두운 환경을 고려해, 난간이나 벽을 잡고 조심스럽게 이동합니다.
- 승강기는 절대 이용하지 않습니다. 정전 등 돌발 상황에서 위험이 큽니다.
- 만약 문·출입구로 탈출이 불가능할 경우, 방범창 등을 절단해 탈출하거나 비상구로 이동합니다.
- 구명조끼, 튜브, 대형 스티로폼 등 부유물을 활용해 뜨거나 버텨서 구조를 기다리는 방법도 고려해야 합니다.
🔔 주의점: 계단이 조금만 물이 들어와도 이동이 매우 어려워지므로, 계단 쪽에 물이 흘러오기 시작하면 즉시 대피해야 합니다.
🚗 지하주차장 / 차량 보관 지하 공간
- 물이 조금이라도 차오르면 차량은 포기하고 사람부터 탈출합니다.
- 진입이 시작된 지하주차장에는 절대 진입하지 않습니다.
- 차량 내 수압으로 문이 열리지 않을 경우, 창문이나 선루프를 통해 탈출할 수 있게 대책을 세웁니다.
3. 차량 침수 시 대응
- 차량이 침수되기 시작하면 시동이 꺼지기 전에 탈출을 시도해야 합니다. (안전한국)
- 문이 열리지 않을 때는 유리창을 깨고 탈출하거나, 차량 내·외부 수위 차이가 30cm 이하가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탈출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안전한국)
- 탈출 후에는 높은 지대로 이동하고, 119 등에 구조 요청을 합니다. (안전한국)
4. 대피 불가능 시 생존 전략
- 전기와 가스를 가능한 한 빨리 차단합니다.
- 구명조끼, 튜브, 부유용품을 활용해 물에 뜨며 구조를 기다립니다.
- 구조 요청(119 등) 및 주변에 구조 요청을 계속 시도합니다.
5. 침수 후 복귀 시 주의사항
- 대피 후 돌아왔을 때는 건물 구조물, 전기·가스 설비 등의 안전을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 가스 누출 우려가 있으니 문·창문을 열어 환기시키고, 전문가 검사를 거친 후 사용해야 합니다.
- 침수된 가전제품이나 전기기구는 절대 작동시키지 말고 전문가 점검을 거쳐야 합니다.
- 식수·음식물은 오염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의해서 처리하고, 사용하지 않는 것이 안전합니다.
- 피해가 발생한 경우, 사진을 찍어 증빙하고 관할 관청 또는 행정복지센터에 신고합니다.
📌 요약표: 지하공간 침수 시 핵심 행동요령
상황 바로 해야 할 행동
비 예보 / 위기 전 | 대비자재 확보, 대피 경로 숙지, 비상공구 준비 |
물 유입 시작 | 즉시 대피, 문 개방, 전기 차단 |
출입구 불가 | 방범창 절단 또는 비상구 이동 |
차량 침수 | 사람 먼저 탈출, 유리창 통해 탈출 시도 |
구조 대기 | 구명조끼·부유물 활용, 구조 요청 지속 |
복귀 후 | 안전 점검 → 환기 → 신고 및 보수 |
현재 화재로 인해 행정안전부 싸이트가 불가하니 블로그에서 참고하시면 됩니다.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 네이버 블로그
항상 국민 여러분과 함께하는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공식 블로그입니다.
blog.naver.com
반응형
'복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년 여성건강지원금 총정리 지원 대상·신청방법·금액까지 한눈에 보기 (0) | 2025.10.12 |
---|---|
[2025 추석 특집] 경기도 공영주차장 무료 개방 총정리 (수원, 성남, 고양 등) (0) | 2025.10.04 |
[2025 추석 주차 꿀팁] 서울시 공영주차장 59곳 무료 개방! 위치 총정리 (0) | 2025.10.04 |
🚗 [2025 추석 연휴] 전국 고속도로 통행료 무료 적용! – 기간·대상·이용방법 총정리 (0) | 2025.10.03 |
💸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처 & 할인율 어디서 얼마나 할인될까 (0) | 2025.09.30 |